본문 바로가기
IT 과학

2030년 대한민국 AI반도세 세계 시장 점유율 20%까지 끌어올린다

by 자유롭게살고싶어 2020. 10. 12.
반응형

대한민국 정부가 시스템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 AI 반도체 발전전략의 실행계획을 발표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30년 인공지능 AI 반도체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서 AI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의 세부 실행계획을 발표했습니다. 2030년까지 대한민국은 AI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에서 점유율 20%을 달성하고, 20여개의 혁신기업들과 3천여명의 고급인재들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전 세계 시스템 반도체 시장에서 점유율 3~4%를 기록하고 있으며, 메모리 반도체의 70% 세계 시장 점유율과 비교를 해보면 굉장히 경쟁력이 떨어지는 상황입니다. 대한민국 정부가 발표한 AI 반도체 산업 발전 전략은 AI 반도체를 중심으로 해서 메모리 반도체 강국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시스템 반도체의 강국으로 도약하려는 의지가 담겨있습니다.

2020년 10월 12일 대한민국 정부는 산업통산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의 여러 관계부처 합동을 통해 판교 시스템 반도체 설계지원센터에서 제 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AI 반도체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들을 발표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날 개최된 관계장관회의에서 AI 반도체 산업 발전전약과 연구개발 R&D 우수성과 범부처 이어달리기 추진방안 등의 안건을 의결하고, 공공연구기관 R&D 혁신방안 중 국립연구기관 후속조치를 새로운 안건으로 논의 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동안 AI와 시스템 반도체를 혁신성장 전략투자 분야로 지정하고, 시스템 반도체 비전과 전략 2019년 4월, AI 국가전략 2019년 12월 , 디지털 뉴딜 2020년 7월 등의 육성 정책을 펼쳐왔습니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AI반도체는 향후 AI 시대를 위한 디지털 뉴딜의 핵심 인프라로 우리의 강점을 바탕으로 민관과 정부가 협력한다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는 유력 분야이며 정부의 선제적 투자로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해 커져가는 세계 시장에 도전하기 위해 이번 대책을 수립, 대형 R&D 및 인력 양성 프로젝트, 디지털 뉴딜과 연계한 초기 수요창출 등 제반 정책과제들을 차질없이 시행해 세계 AI반도체 선도국가가 되겠다고 말했습니다.

AI 반도체는 AI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요소로 데이터 수집과 전송, 연산등에 활용됩니다. 4차 산업혁명과 비대면 경제의 가속화로 시스템 반도체가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AI반도체가 서버, 클라우드 인프라, 모바일, 자동차, 가전 등의 다양한 분야와 융합해 전 산업의 중심이 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AI 반도체 시장 규모는 2020년 185억달러에서 2030년에는 1179억달러로 한화 약 135조원으로 급성장 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AI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도 급격히 늘어나 전체 시스템 반도체 시장에서 AI 반도체 비중은 2020년 8%에서 2030년에는 31.3%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반응형

댓글